티스토리 뷰
목차
1. 수영의 핵심 원리: 저항을 줄이고, 추진력을 극대화하라
수영은 물속에서 수행하는 스포츠로, 다른 육상 운동과는 전혀 다른 물리적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육상에서는 공기 저항과 지면 반발력을 생각해야 하지만, 수영에서는 "물의 저항(Water Resistance)과 추진력(Propulsion)"이 경기력에 가장 큰 영향을 줍니다.
수영에서 빠르게, 효율적으로 이동하려면 저항을 최소화하고, 추진력을 극대화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특히, 저항을 줄이는 것이 추진력을 높이는 것만큼이나 중요한데, 이번 글에서는 수영에서의 저항과 추진력의 개념을 체육역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영 기술을 살펴보겠어요.
2. 수영에서 작용하는 저항력 분석
수영에서 저항이란 선수가 물을 통과하면서 앞으로 가는것에 대해 방해하는것을 의미한다. 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800배 정도 높기 때문에, 수영 선수들은 육상보다 훨씬 더 강한 저항을 받습니다. 이 저항을 줄이지 않으면 아무리 강한 추진력을 만들어도 속도를 높이기가 정말 어렵지요.
(1) 수영에서의 3가지 주요 저항 요소
- 항력(저항력, Drag Force)
- 물의 점성과 밀도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
- 수영 속도가 빠를수록 저항도 증가
- 수면에서의 파동 저항, 피부 저항, 압력 저항으로 세분화됨
- 파동 저항(Wave Drag)
- 수영할 때 몸이 물을 밀어내면서 파동이 생기며 발생
- 수면에서 높이 뜰수록 커지고, 깊이 들어갈수록 감소
- 프리스타일과 배영에서는 낮은 자세가 중요
- 마찰 저항(Skin Friction Drag)
- 피부 표면과 물 분자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
- 수영복 소재나 신체 표면 상태(제모 여부) 등에 영향
- 경기용 수영복(레이저 수트)이 저항을 줄이는 이유
- 압력 저항(Pressure Drag)
- 몸의 앞쪽에서 물이 밀려나며 발생하는 저항
- 몸이 둥글게 구부러지거나 정면적이 넓으면 증가
- 유선형 자세(스트림라인)가 중요한 이유
(2) 저항을 최소화하는 방법
- 머리를 지나치게 들지 않고 낮은 자세 유지
- 팔과 다리를 뻗어 유선형 스트림라인 만들기
- 경기용 수영복 사용(마찰 저항 감소 효과)
- 출발 및 턴 시 수중 돌핀킥 활용(파동 저항 감소)
3. 수영에서 추진력의 원리
저항을 줄이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효율적으로 추진력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추진력이 강할수록 수영 속도가 빨라지며, 이를 위해서는 뉴턴의 운동 법칙과 유체 역학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 뉴턴의 제3법칙: 작용과 반작용
수영에서 추진력이 발생하는 기본 원리는 뉴턴의 작용-반작용 법칙이다.
- 팔로 물을 뒤로 밀면(작용), 물이 몸을 앞으로 밀어준다(반작용)
- 발차기로 물을 아래쪽으로 밀면, 몸이 위로 떠오른다
즉, 효율적인 추진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내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2) 추진력을 극대화하는 방법
- 팔 스트로크(Stroke) 기술
- 팔로 물을 강하게 밀어낼수록 추진력이 증가
- ‘캐치 → 풀 → 피니시 → 리커버리’ 단계를 최적화해야 함
- 프리스타일: S자 스트로크(과거) → 직선 스트로크(현대)
- 킥(Kick) 기술
- 추진력의 10~15% 정도 차지
- 강한 킥보다는 짧고 빠른 킥이 효율적
- 돌핀킥: 유체 역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수중 킥
- 몸의 회전(Body Rotation) 활용
- 자유형과 배영에서는 몸을 좌우로 회전하며 스트로크해야 추진력 극대화
- 회전 반경이 크면 오히려 저항 증가 → 적절한 각도 유지 필요
4. 영법별 저항과 추진력의 차이
수영 영법에 따라 저항을 최소화하고 추진력을 최대로 하는 방법이 다르다.
(1) 자유형(Freestyle)
- 최소한의 저항과 최대한의 추진력을 활용하는 영법
- 머리를 수면 가까이 두고, 몸을 길게 뻗어 저항 감소
- 팔 스트로크와 다리 킥의 조화가 중요
(2) 배영(Backstroke)
- 자유형과 유사하지만, 수면에서 얼굴이 위로 향함
- 몸의 회전이 매우 중요하며, 팔이 물속으로 들어가는 각도 조절 필요
(3) 평영(Breaststroke)
- 다른 영법에 비해 저항이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스트림라인 필수
- 팔과 다리를 함께 사용하여 추진력 극대화
- 돌핀킥 허용 이후(2015년 FINA 규정 변경) 수중 추진력 활용 증가
(4) 접영(Butterfly)
- 가장 강한 추진력을 필요로 하지만, 저항도 큼
- 돌핀킥이 핵심, 몸 전체를 유기적으로 활용해야 함
5. 효과적인 수영을 위한 운동역학적 팁
(1) 수중 자세 개선
- 최대한 낮고 평평한 자세 유지 → 파동 저항 최소화
- 팔과 다리 뻗어 유선형 유지 → 마찰 저항 감소
(2) 스트로크 효율 극대화
- 물속에서 충분히 캐치 후 강하게 풀 동작 수행
- 팔이 물속에 들어갈 때 너무 깊이 X, 적절한 각도 유지
(3) 킥 최적화
- 자유형과 배영: 짧고 빠른 킥
- 접영: 돌핀킥 활용, 몸 전체를 사용하여 물 밀어내기
(4) 출발과 턴 기술 활용
- 출발 후 돌핀킥 최대한 길게 유지(수중에서 저항 최소화)
- 턴 시 벽을 강하게 밀어 추진력 극대화
6. 결론: 물리학을 이해하면 수영이 쉬워진다
수영에서 속도를 높이려면 저항을 줄이고, 추진력을 극대화해야 한다.
- 저항을 줄이는 방법: 유선형 자세, 마찰 저항 감소, 파동 저항 관리
- 추진력을 극대화하는 방법: 효율적인 팔 스트로크, 빠른 킥, 몸의 회전 활용
이 원리를 훈련에 적용하면, 더 빠르고, 더 효율적으로, 더 쉽게 수영할 수 있다.
자, 오늘 당장 수영장으로 고! 고!